728x90 SMALL 성경묵상32 이사야 37:5-7 주님의 응답 5 이와 같이 히스기야 왕의 신하들이 이사야에게 나아가매 6 이사야가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너희 주에게 이렇게 고하라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너희의 들은 바 앗수르 왕의 종들이 나를 능욕한 말을 인하여 두려워 말라 7 보라 내가 신을 그의 속에 두리니 그가 풍성을 듣고 그 고토로 돌아갈 것이며 또 내가 그를 그 고토에서 칼에 죽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오늘 본문은 주님께 모든 것을 맡긴 히스기야에게 주시는 주님의 응답입니다. 주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통하여 앗수르 군대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히스기야에게는 승리에 대한 약속이었습니다. 그러나 산헤립에게는 심판 시행 선고였습니다. 첫 번째 필승공식, 두 번째 필패공식을.. 2024. 4. 28. 이사야 36:11-22 산헤립의 미혹 11 이에 엘리아김과 셉나와 요아가 랍사게에게 이르되 우리가 아람 방언을 아오니 청컨대 그 방언으로 당신의 종들에게 말씀하고 성 위에 있는 백성의 듣는 데서 유다 방언으로 말하지 마소서 12 랍사게가 가로되 내 주께서 이 일을 네 주와 네게만 말하라고 나를 보내신 것이냐 너희와 함께 자기의 대변을 먹으며 자기의 소변을 마실 성 위에 앉은 사람들에게도 하라고 보내신 것이 아니냐 13 이에 랍사게가 일어서서 유다 방언으로 크게 외쳐 가로되 너희는 대왕 앗수르 왕의 말씀을 들으라 14 왕의 말씀에 너희는 히스기야에게 미혹되지 말라 그가 능히 너희를 건지지 못할 것이니라 15 히스기야가 너희로 여호와를 의뢰하게 하려는 것을 받지 말라 그가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반드시 우리를 건지시리니 이 성이 앗수르 왕의 손에 .. 2024. 4. 28. 마태복음 5:13-16 세상의 소금과 빛 5:13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데 없어 다만 밖에 버리워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14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기우지 못할 것이요 15 사람이 등불을 켜서 말 아래 두지 아니하고 등경 위에 두나니 이러므로 집안 모든 사람에게 비취느니라 16 이같이 너희 빛을 사람 앞에 비취게 하여 저희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라 ---------------------------------- 마태복음 5:1-12절까지 팔복을 통하여 주님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추구해야 하는 진정한 복이 무엇인지 교훈하심으로 이상적인 신앙인의 상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이제 이어지는 본문에서는 소금과 빛의 은.. 2024. 3. 20. 팔복(9)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는 자의 복 10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라 11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려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12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 너희 전에 있던 선지자들을 이같이 핍박하였느니라. 의를 위하여 받는 핍박은 팔복의 마지막 복이자, 결론적인 내용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핍박을 받는 것이 왜 복인지, 두 번째로 핍박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핍박이 어떻게 복이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음이 복된 이유가 심령의 가난함이 복인 이유와 똑같이 ‘천국이 저희 것임이라’입니다. 이는 결코 의를 위한 핍박을 받음이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 조건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천국.. 2024. 3. 20. 팔복(8) 화평케 하는 자의 복 9 화평케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오늘 7번째 복은 화평케 함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니다. 화평케 함이 하나님의 아들들의 기본 자세라는 사실을 교훈해 주십니다. 첫째로 화평케 하는 자의 모범이 되신 예수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화평케 한다는 말은은 ‘화해시킨다’는 뜻입니다. 양 당사자의 깨어진 관계를 화해시킴으로 친밀한 관계가 되게 하는 일입니다. 이 화해를 통하여 비로소 깨어졌던 평화가 회복이 됩니다. 우리 그리스도인이 누리는 평화와 평안은 바로 주님과의 관계회복에서 옵니다. 따라서 이 평화는 그리스도의 대속 공로를 통하여 아버지와 화해한 자들에게 주어집니다. 따라서 이 평안은 앞에 있는 6가지의 복과 논리적으로 연결이 됩니다. 심령의 가난함과 애통함.. 2024. 3. 20. 팔복(7) 마음이 청결한 자의 복 8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 주님은 산상수훈의 팔복을 통하여 이상적인 신자의 상이 무엇인지 가르쳐주고 계십니다. 이는 당시의 유대교의 종교체계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가르침이었습니다. 오늘 배우게 될 6번째 복, 마음의 청결함도 유대교 안에서는 배울 수 없는 가르침었습니다. 오늘은 주님께서 교훈하신 이상적인 신자의 상 가운데 하나인 마음의 청결함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주께서 마음의 청결함을 말씀하신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수많은 정결예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밖에 나갔다 들어오면 반드시 손을 씻어야 했습니다. 이는 위생을 위하여 손을 씻은 게 아니었습니다. 밖에 나갔다가 돌아다니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율법에서 규정하는 부정한 사.. 2024. 3. 20. 팔복(6) 긍휼이 여기는 자의 복 5:7 긍휼히 여기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긍휼히 여김을 받을 것임이요 긍휼히 여기는 자는 복이 있다는 말씀은 앞에서 살펴본 복들과 논리적으로 연결이 됩니다. 어떻게 연결이 될까요? 우선 심령의 가난함을 가진 자, 자신 안에 어떤 영적인 선도 행할 능력이 없음을 인하여 절망하는 사람은 주님의 은혜만을 의지하여 천국 백성이 됩니다. 자신의 영적인 절망상태를 인하여 애통함으로 죄 용서라는 주님의 위로를 받습니다. 이렇게 죄 용서와 구원을 받은 사람은 온유함 즉, 마음의 따뜻함으로 형제들을 돌보게 됩니다. 자신이 받은 은혜를 기억하고 형제들을 비판하고 정죄하기보다는 따뜻한 마음으로 그들을 위로하고 격려함으로 죄에서 돌이킬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의에 주리고 목마름으로 구원 받기 전이나 구 원 받은 .. 2024. 3. 20. 팔복(5) 의에 주리고 목 마른 자의 복 6 의에 주리고 목 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배부를 것임이요. 주님은 앞서 심령의 가난함과 애통함, 온유함을 복으로 정의하셨습니다. 심령의 가난은 자신의 전적 부패와 무능력에 대한 지적인 반응입니다. 자신이 얼마나 주님 앞에서 철저한 죄인인지 인식하는 것이 심령의 가난함입니다. 그리고 심령이 가난한 사람은 절망가운데 주님의 자비만을 구하며 애통하는 마음을 갖게 됩니다. 이런 심령의 가난함과 애통을 통하여 주님의 은혜를 경험한 사람이 보여주는 성품이 온유함입니다. 온유함은 결코 유약함이 아닙니다. 주님의 은혜로 구원 받은 자신의 신분을 늘 인식하므로 자신을 낮추는 겸손함에서 나오는 온화함, 따뜻한 마음입니다. 오늘은 이어서 의에 주리고 목마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의에 주리고 목마름이 무.. 2024. 3. 13. 팔복(4) 온유한 자의 복 5:5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우리는 지난 시간에 심령의 가난함과 애통함은 자신의 전적 부패와 무능력에 대한 지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이라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이들은 자신에게는 아무런 소망이 없기에 오직 주님의 자비만을 의지하게 됩니다. 이제 세 번째 복으로 온유함이 나옵니다. 심령이 가난한 자는 천국을 소유하게 되고, 애통한 자에게 주어지는 위로는 죄 용서와 함께 구원의 완성에 대한 약속입니다. 이제 하나님 나라의 백성에게 나타나는 인격으로 온유함과 땅을 기업으로 받음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첫째로 온유함에 대해서, 두 번째로 땅을 기업으로 받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첫째로 온유함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땅을 차지하는 데 엄청난 관심을 갖.. 2024. 3. 13. 팔복(3) 애통하는 자 5:4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예수님께서는 심령에 가난한 자가 복이 있다고 하셨는데, 오늘 본문에서는 애통하는 자가 복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어떻게 애통하는 자가 복이 있을 수 있을까요? 애통과 그들이 받는 위로가 무엇인지 알게 되면 동의하시게 될 것입니다. 첫째로 무엇에 대한 애통인지? 두 번째로 그들이 받는 위로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첫째로 무엇에 대한 애통인지 생각해보겠습니다. 우선 본문에서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애통은 물질적이거나 세상적인 문제로 인한 애통이 아닙니다. 물론 욥과 같이 사랑하는 자녀들과 모든 재산과 건강까지 일순간에 잃어버린 것으로 인하여 애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고통은 그의 신앙을 더 성숙시켜 주는 것이었습니다. 자신의 피조물로.. 2024. 3. 13.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LIST